목차

장례식장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고인을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올바른 방법을 알고 싶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장례식장 조문 시 지켜야 할 예절과 주의사항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은 더욱 정중하고 예의 바른 태도로 조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조문 절차: 단계별 안내


빈소 입장 전 준비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먼저 외투와 모자를 벗어 정리합니다. 빈소에 들어가기 전, 조문록에 이름을 기입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이는 유가족이 조문객을 확인하고 감사 인사를 전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상주와의 첫 인사
빈소에 들어서면 먼저 상주에게 가벼운 목례로 인사를 드립니다. 이때 과도한 신체 접촉은 피하고, 간단한 눈인사만으로도 충분합니다.
고인에 대한 경의 표현
고인의 영정 앞에서 분향이나 헌화를 통해 고인에 대한 경의를 표합니다. 분향 시에는 향을 피운 후 가볍게 흔들어 불을 끄고, 입으로 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헌화의 경우, 보통 국화를 사용하며 꽃을 영정 앞에 공손히 올려둡니다.
묵념 또는 절
고인을 추모하는 마음을 담아 묵념을 하거나 두 번 절을 합니다. 묵념 시에는 눈을 감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절을 할 때는 종교나 문화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세요.
상주에 대한 위로
고인에 대한 예를 표한 후, 다시 상주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이때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같은 간단한 위로의 말을 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퇴장
조문을 마친 후에는 조용히 뒤로 물러나 빈소를 나갑니다. 퇴장 시 큰 소리를 내지 않도록 주의하고, 휴대폰은 반드시 진동 모드로 설정해 주세요.


장례식장 예절: 주의해야 할 점
적절한 복장 선택
장례식장에는 검정색이나 어두운 색상의 정장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화려한 색상이나 과도한 장신구는 피하고, 단정한 차림새를 유지하세요. 남성은 검은색 양말을, 여성은 살색 스타킹을 신는 것이 좋습니다.


조용하고 경건한 태도 유지
장례식장 내에서는 항상 낮은 목소리로 대화하고, 웃음소리나 큰 소리로 떠드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 고인과 유가족에 대한 존중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상주와의 대화 시 주의사항
상주나 유가족과 대화할 때는 고인의 사망 원인이나 자세한 경위를 묻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대신 간단한 위로의 말을 전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신체 접촉 최소화
상주와 악수나 포옹 등의 신체 접촉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공손한 목례로 예를 표하세요.
조문 후 행동
조문을 마친 후에는 조용히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나 몸을 돌려 나가는 것이 예의입니다. 이는 고인과 유가족에 대한 마지막 존경의 표현입니다.
조문록 작성 시 유의사항
조문록에 이름을 쓸 때는 깔끔하고 정중하게 작성합니다. 특별한 메시지를 남기고 싶다면 간결하고 진심 어린 내용으로 적어주세요.



종교적 관습 존중
각 종교마다 장례 예절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가족의 종교적 관습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확실한 경우 주변에 조용히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감정 표현의 적절성
슬픔을 표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행동하거나 소란을 피우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 조용하고 경건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조문 시기(시간) 선택
장례식 첫째 날
고인이 돌아가신 직후로, 유가족들이 매우 바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례지도사의 도움으로 조문객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을 수 있으니, 저녁 시간대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식 둘째 날
이 시기에는 유가족들이 조금 더 여유가 있을 수 있어, 상주와의 대화나 위로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오후 시간대가 적절합니다.
장례식 마지막 날
발인 준비로 바쁠 수 있으니, 조문객이 많이 몰리는 시간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인 전에 조문을 마치는 것이 이상적이며, 유가족의 상황을 고려해 방문 시간을 선택하세요.
조문 시기 선택 요령
조문객이 적은 시간대를 선택하면 유가족에게 더 큰 위로를 줄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장례식장에 연락해 적절한 방문 시간을 문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분향과 헌화 시 주의사항
분향 시 유의점
- 향은 1개 또는 3개 등 홀수로 사용합니다.
- 향에 불을 붙인 후에는 가볍게 흔들어 불을 끕니다.
- 향을 꽂을 때는 한 번에 하나씩, 정중하게 꽂습니다.
- 무릎을 꿇고 분향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헌화 시 주의사항
- 꽃은 오른손으로 잡고 왼손으로 받쳐 들어 올립니다.
- 꽃봉오리가 영정을 향하도록 합니다.
- 대부분 빈소에 준비된 국화를 사용합니다.
- 단체 방문 시에는 대표 한 명만 헌화합니다.
공수자세(손 위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상갓집에서는 이와 반대로, 남자는 오른손을, 여자는 왼손을 위로 합니다. 절할 때는 손을 눈높이까지 올리고 시선은 바닥을 향하게 합니다.
장례식장에서의 올바른 예절을 지키는 것은 고인에 대한 존경과 유가족에 대한 위로를 표현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내용들을 참고하여 정중하고 예의 바른 태도로 조문하시기 바랍니다. 마음을 담아 고인을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임을 잊지 마세요.
장례식장에서 절할 때 남자와 여자의 손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남자: 장례식장에서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두 손을 포개어 잡습니다.
- 여자: 장례식장에서는 왼손이 위로 가게 두 손을 포개어 잡습니다.
이러한 손 위치는 장례식장에서의 흉사시(喪事時) 공수 자세로, 평상시와는 반대입니다. 평상시에는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잡습니다.

절하는 방법
남자
- 준비 자세: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두고,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주먹을 쥡니다.
- 공수: 공수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습니다. 장례식장에서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합니다.
- 무릎 꿇기: 왼 발을 조금 뒤로 빼며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왼쪽 무릎부터 꿇습니다.
- 절: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두 번 절합니다.
여자
- 준비 자세: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두고,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오므립니다.
- 공수: 공수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습니다. 장례식장에서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합니다.
- 무릎 꿇기: 공수한 손을 풀고 바로 선 자세에서 무릎을 꿇고 앉습니다.
- 절: 양손을 무릎 앞부분 양 옆의 바닥을 짚으며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한 번 절합니다.
이러한 절하는 방법은 장례식장에서의 예의를 지키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조의금 봉투에 이름을 작성할 때는 봉투 뒷면의 왼쪽 하단에 세로로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름은 왼쪽에, 소속은 이름의 오른쪽 위쪽에 적는 것이 좋습니다.

조의금 봉투 작성법
- 봉투 앞면: 고인을 애도하는 한자를 세로로 적습니다. 예를 들어, "부의(賻儀)"나 "추도" 등의 한자를 사용합니다.
- 봉투 뒷면:
- 이름: 왼쪽 하단에 세로로 작성합니다. 이름은 위에서 아래로 적습니다.
- 소속: 이름의 오른쪽 위쪽에 적습니다. 이는 누가 조의금을 냈는지 명확히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 단체나 모임의 경우: 단체나 모임에서 조의금을 내는 경우에는 봉투 뒷면에 단체나 모임의 이름을 적어도 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의금 봉투를 작성하면, 유가족이 누가 조의금을 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의(賻儀)는 다음과 같은 한자로 구성됩니다:
- 賻 (부): '부조하다', '도와주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한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貝 (조개 패): 옛날에 돈이나 물품을 의미했으며, 금전적 가치를 나타냅니다.
- 甫 (클 보): '크다', '많다'라는 뜻이지만, '보완하다'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 寸 (마디 촌): '마디', '마음', '조금' 또는 '약간'을 의미합니다.
- 儀 (의): '거동', '법도', '법식', '예절'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賻儀를 한자 뜻 그대로 풀면 "상가에 도움을 주는 큰 마음 또는 예절" 정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초상집에 조문하고 부조하는 뜻으로 보내는 물건이나 돈을 의미하며, 현재는 주로 돈을 의미합니다.
부의는 단순히 금전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상가를 돕는 행위 자체를 나타내는 예절의 의미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추도(追悼)는 다음과 같은 한자로 구성됩니다.
- 追 (추): '따르다', '쫓다', '거슬러 올라가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 悼 (도): '슬퍼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追悼를 전체적으로 해석하면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슬퍼하다"라는 뜻입니다.
追 자는 辶(쉬엄쉬엄 가다, 달리다, 뛰어넘다의 의미)과 阜(언덕, 크다, 높다의 의미)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悼 자는 心 (마음, 생각, 감정을 나타냄)과 卓 (뛰어나다의 의미)의 결합입니다.
추도는 일반적으로 장례 절차가 끝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상황이나 최근에 발생한 사건에 대해서는 '애도'나 '조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모아모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스마트폰으로 디지털 신분증 신청방법 (1) | 2025.03.17 |
---|---|
"정품 vs 병행수입 vs 벌크: 차이점과 구매 팁 완벽 정리" (0) | 2025.03.14 |
인감증명서 (인터넷,대리,법인,무인발급기위치)발급 방법 (0) | 2025.03.12 |
실업급여, 이렇게 쉽게 신청하세요! (방법, 계산기) (0) | 2025.03.11 |
서울보증보험 공모주 3월공모주 청약 일정 확인하세요!" (0) | 2025.03.10 |